선불폰은 약정이나 위약금 없이 충전한 만큼만 쓰는 요금제입니다.
처음 접하는 분들이 반드시 알아두면 좋은 기본 개념들을 정리했습니다.
1. 선불폰의 기본 구조
- 선불제(Prepaid): 요금을 미리 충전 후 사용
- **후불제(Postpaid)**와 달리 사용 후 결제가 아니라, 충전 없이는 사용 불가
- 유효기간: 충전 금액 단위에 따라 7일, 15일, 30일, 90일 등으로 설정
2. 충전 방식
- 온라인 충전: 통신사 앱/홈페이지, 카드/계좌 결제
- ARS 충전: 114 또는 고객센터 대표번호 연결 후 충전
- 편의점 충전권: GS25, CU, 세븐일레븐, 이마트24 등에서 구매 후 등록
- 대리점 충전: 알뜰폰 대리점 방문 → 현장 충전 처리
- ATM/은행 충전: 일부 사업자만 지원
3. 충전 금액 단위 & 유효기간
- 5천 원, 1만 원, 2만 원, 3만 원, 5만 원, 10만 원 단위
- 금액이 클수록 유효기간도 길어짐 (예: 1만 원 = 30일, 5만 원 = 90일)
- 충전한 금액/요금제에 따라 데이터·통화 제공량이 달라짐
4. 요금제 종류
- 소액형 요금제: 데이터 적게 쓰는 사용자(500MB~2GB)
- 통화 무제한 + 소량 데이터형: 통화 많은 사용자
- 무제한 요금제: 하루 2~5GB 고속 데이터 + 이후 속도 제한 무제한
- 단기 요금제: 7일, 15일 단위 충전형 (여행·출장용)
5. 사용 가능 상태 확인
- 문자 알림: 충전 완료·만료 안내 문자 확인
- USSD 코드:
*123#
,*111#
등 입력 → 잔액·기간 표시 - 고객센터 ARS(114): 잔액/충전 내역 조회
- 앱/홈페이지: 데이터·통화 잔여량, 충전 내역 확인
6. 번호이동(MNP)
- 선불폰도 번호이동 가능
- 조건: 충전 잔액 일정 금액(보통 1천~5천 원 이상) 필요
- 개통 후 3개월 미만이면 일부 사업자는 번호이동 제한
7. 유심(USIM) 관련
- 유심만 교체하면 기기 변경 가능 (단말기 호환 필요)
- 유심 손상/분실 시 재발급 가능 → 번호·잔액 그대로 유지
- 망 변경(SK ↔ KT ↔ LG)은 반드시 해당 망 유심 필요
8. 외국인 사용 시
- 단기 체류자: 여권으로 개통 가능, 편의점 충전권 권장
- 장기 체류자: 외국인등록증(ARC) 필요, 앱/홈페이지 충전 가능
- 번호이동 시: 체류 기간 만료일이 가까우면 제한 가능
9. 관리 팁
- 자동충전: 매월 정기 결제 설정 가능 → 충전 깜빡 방지
- 충전 기한 관리: 유효기간 만료 전 충전해야 번호 유지 가능
- 데이터 관리: 무제한 요금제라도 속도 제한 조건 반드시 확인
- 해지: 별도 위약금 없음, 단 충전 잔액은 소멸
결론
선불폰은 약정 부담이 없고, 사용 패턴에 따라 합리적인 요금제 선택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.
하지만 충전 기한·잔액·유효기간 관리를 소홀히 하면 갑작스런 사용 중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,
정기적으로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FAQ)
- 선불폰도 무제한 데이터가 있나요?
- 네, 하루 2~5GB 고속 제공 후 속도 제한 무제한 사용이 일반적입니다.
- 충전 잔액이 남아도 유효기간이 지나면 못 쓰나요?
- 맞습니다. 잔액이 있어도 기간이 지나면 사용 불가, 재충전해야 복구됩니다.
- 외국인도 선불폰 가입이 되나요?
- 가능합니다. 여권 또는 외국인등록증으로 개통할 수 있습니다.
- 후불폰보다 선불폰이 더 저렴한가요?
- 단기·저사용자에게는 선불폰이 유리, 장기·대사용자는 후불이 유리합니다.
- 유심만 바꿔 끼우면 기기 변경 가능한가요?
- 가능합니다. 다만 단말기 잠금·호환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.
- 번호 유지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?
- 충전 유효기간 만료 후 보통 30~90일, 이 기간 내 재충전 시 번호 유지 가능
- 충전 잔액 환불이 되나요?
- 일반적으로 불가합니다. 번호이동이나 해지 시 대부분 소멸됩니다.